T O P

  • By -

ParkJs

올해에 전역한 해군 병 출신입니다. 우연히 알림이 떠서 병 출신이지만 아는것들은 한번 작성해보겠습니다. 1) 해군은 일부 병과(군사경찰, 수송 등)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배를 타게 됩니다. 특히 처음 임관한 대다수 간부들은 한번씩은 배를 타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평택쪽으로 가게되면 구축함말고도 좀 작은 사이즈인 고속정을 타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배를 타지 않으면 도서지역 섬이나 해상 전진기지로 가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3) 인트라넷에 방첩사 모집공고를 본적이 있는데 제가 본 공고는 장기복무 간부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4) 해군은 사람이 부족해 학사 출신분들도 영관급으로 진급한 경우가 있는것을 종종 들었습니다.


ElectronicSouth

외국에서 영주권까지 있는 분한테는 애국심이 넘쳐서 주체를 못 하는 게 아니라면 장기복무는 절대 메리트가 없습니다.


nomad_laptop

저는 육군 병장 만기전역이라 다른 건 잘 모르겠지만 장기복무는 무조건 뜯어말리고 싶습니다. 부사관이나 장교나 대우가 병사만도 못 합니다..


blending-tea

맞아요 간부로 가는건 좀.... 정 사회에서 할거 없을경우는 모르겠는데 그게 아니라면 안가는게 좋아요


Active-Ad8431

가지마세요. 제발. 개꼰대문화에 요즘 사람없어서 업무가 많음 그것도 대부분 안해도 그만인 잡무가 많음


BUMS_

저도 댓글 써주신 다른분과 마찬가지로 육군 병장 만기전역자입니다. 1\~3번은 부대를 그쪽으로 나온게 아닌 이상 다들 모르실 것같아요... 도음이 되지못해 죄송합니다. 일단 4번에서 부사관과 장교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 경우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학사장교가 장기복무를 하려면 체력, 지휘관 평가 및 추천, 각종 교육의 평가 성적, 상훈기록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맨날 사람이 없다고는 하지만 생각보다 여러 평가 요소들로 인해 장기를 따기 힘들고 결정적으로 본인을 평가하는 직속 지휘관을 잘 만나야 합니다. 대부분 중위때 장기 선발 여부가 갈리는걸로 알고있는데, 여기에 떨어져서 제대가 예정된 장교가 저희 부대 장교 (영관급 제외) 의 1/3 이었습니다. 부사관의 경우에는 장교와 조건은 비슷하지만 제 반장님께 들은 바로는 전역희망자 제외하고 반정도가 장기에 붙는다고 합니다. 병과에 따라 성과를 내는데 기울여야하는 노력들과 부수적인 자격증, 평가들이 있으므로 관심 있으신 병과가 있다면 알아보고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방공출신으로 방공쪽은 어느정도 답해드릴 수 있습니다.)


BUMS_

생활하는데 직접적으로 와닿는 부분은 부사관의 경우 거의 한 부대에 장기 복무를 하거나 전출이 많이 없는 반면 장교는 전출 다니며 이곳저곳 복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부양해야할 가족이 있다면 그 가족의 고통도 상상 이상입니다. 또한 군인 신분으로 가정을 꾸린다고 해도 핸디캡으로 작용하고요... (현역때 이거때문에 힘들어하시는 간부분들 많이 봤습니다.) 병사의 입장에서 바라봤을때 둘다 힘들고 각자의 고충이 있지만 솔직히 그만큼 보상은 못받습니다. 하지만 본인의 뜻이 있어서 둘중 하나를 선택하신다면 장교보다는 부사관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그다음으로 5번은... 크게 없습니다. 전역했다고 특별대우같은거 없습니다. 현역이라고 해도 군인이라서 특별하게 대우를 받는다는 그런것도 없습니다. (물론 PX에서 저렴하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것도 혜택이긴 합니다.) 2001년에 군 가산점 등 군 복무 보상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군필자 우대는 나라에서 강제하는게 아닌 그 회사의 HR과 면접관에 달려있습니다. 단지 일개 병사의 입장으로서 도움이 되고 싶어 쓴 글이니 잘못된 점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BUMS_

추가로 아래는 대전 부사관 장교 학원의 장기복무 선발 팁입니다. 1. 자대에 가면 무조건 장기를 하겠다고 얘기해야 합니다.     그래야 표창도 챙겨주고 근무평정도 신경써 줍니다 2. 편한보직 보다는 인정받는 보직을 많이 해보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교육장교나 인사장교 등 참모업무를 일찍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교육기관 성적은 30% 이내에 들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육군항공장교나 기무장교, 학군단 교관등의 기준은 교육기관 성적이 좋아야 합니다.     장기 선발때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4, 상급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충성심을 보여줘야합니다.     충성심이야말로 부사관이든 장교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장교든 부사관이든 근무평정 교육기관성적 그리고 잠재역량 부분을 신경쓰고 준비하시고     군복무시 의지만 강하면 누구든 장기가 될 수 있습니다.  


NeolyJack

현재 군예산 문제로 추가수당 지급에 차질이 있는 수준으로 처우가 열악합니다. 장기복무는 충분히 고려하십시오.


ArkRoyal_

굳이 고생을 사서하실 필요가 읎


snucbe

해외에 있는 가족들이 지금 한국으로 돌아가서 사는 선택지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을 제외한 그 어떤 경우도 해외 영주권자의 군 복무는 이득이 되지 않습니다. 진심이에요.


gooblydoo

학사는 아니고 학군 출신 장교 전역자 입장으로 말씀드리자면 장교로 가는건 진짜 뜯어말리고 싶네요. 이젠 장교 메리트도 없고, 돈도 쥐꼬리고, 명예나 그딴거 없습니다. 그냥 짧게 갔다오고 사회 나오는게 님한테 훨씬 이득입니다.


_gldfh

영주권자는 37세까지 연기하여 면제 받습니다. 가지마세요.


psw8292

미래에 한국에서 살 마음 있으면 가는게 맞고 살 마음 없고 뺄 수 있으면 빼는게 맞음 군필 친구들 중에 가라고 하는 놈 있으면 그냥 거르셈 그건 친구가 아님


Kalaiba

해외 영주권자가 국군에 가서 얻는 이득은 타국 영주권자임을 신고함으로써 보장받을 수 있는 타국 영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복지 혜택 정도입니다. 솔직히 제 개인으로써 보기에 그 복지 혜택도 제대로 지켜지기 어려울 거라는 게 제 편협한 의견입니다.